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

최초의 백신 종두법, 인류와 바이러스의 싸움 호환마마, 목숨이 위험할 정도로 힘겨운 상황을 뜻하는 우리말이다. 호환은 호랑이에게서 받는 피해를 뜻한다. 현대의 21세기 대한민국에서 호랑이는 그냥 멋있는 동물이다. 동물원에 가서 쉽게 볼 수 있으며, 호랑이에게 물려 죽을까 걱정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국토의 약 70%가 산지인 우리나라에서 호랑이는 흔한 동물이었으며 실질적인 위협이었다. 따라서 과거, 조상들은 호랑이를 두려워했다. 그런데 이런 호랑이와 더불어 두려워했던 마마란 무엇일까? 호환과 마마 둘 다 두려운 무언가라는 것은 추측 가능하지만 마마가 무엇인지는 모를 것이다. 요즘엔 안 쓰는 말이기 때문이다. 천연두의 무서움 마마의 정체는 천연두다. 천연두는 인류에게 몹시 위협적인 질병이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천연두의 두 종류 .. 2021. 8. 2.
머신러닝, 인공신경망? 인공지능 용어 설명 요즈음 인공지능 이슈가 뜨겁다. 이세돌이 알파고에 패배한 것부터, 인공지능 판사까지. 각계 전문가들은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쓰이리라 예상한다. 그런 인공지능이지만, 시민들에게는 낯설다. 인공신경망이니, 뭐니 하며 각종 전문용어가 튀어나오기 때문이다. 필자는 그런 낯선 단어를 더욱 친숙하게 만들고자 이 글을 썼다. 인간은 단 2자리 수끼리의 곱셈도 시간을 들여야 하지만 컴퓨터는 아니다. 10자리 수의 곱셈, 182392343 X 4810752966 같은 복잡한 곱셈을 컴퓨터는 11초 만에 끝낼 수 있다. 그렇다면 컴퓨터는 인간보다 똑똑할까? 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만들거나, 소설을 쓰는 것과 같은 창의력이 요구되는 활동은 컴퓨터가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 2021. 7. 31.
화이자는 RNA 백신이라고? 코로나 백신의 종류와 원리 최근 코로나로 인해 많은 이슈가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공공기간 휴업, 헬스장 제한적 영업제한 등등... 하지만 가장 뜨거운 이슈는 ‘백신’일 것이다. 필자는 사회의 관심이 주목되는 코로나 백신에 대해 소개하며, 각각의 특징에 대해 소개하겠다. 백신의 원리 인간은 계속되는 자극에는 익숙해진다. 몇 번을 들어도 흥겨울 것 같던 음악은 점차 흥미가 떨어지고, 아무리 맛있는 음식이어도 계속해 그것만을 먹으면 질리기 마련이다. 바이러스 또한 그렇다. 한 번 바이러스를 이겨내면 몸은 바이러스를 기억한다. 따라서 같은 바이러스에 공격당하더라도 처음 공격당하는 것과 두 번째 공격당하는 것은 다르다. 두 번째 공격당할 때는 덜 아프고, 더 빠르게 회복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바이러스의 항원에 대응되는 항체를.. 2021. 7. 30.
반응형